〈신체와 감각을 잇는 피지컬 인터페이스 디자인〉, 2021, 아카이브 영상, 싱글 채널, 8min 26sec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음 예술창작 아카데미에서는 2021년 11월~12월간 총 7주에 걸쳐 장애인 예술가를 대상으로 <신체와 감각을 잇는 피지컬 인터페이스 디자인> 워크숍을 열었다. 이 프로그램은 2017년부터 ‘여성과 기술’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펼쳐온 여성기술랩이 기획과 진행을 맡았다. 여성기술랩(전유진, 나지수, 서유리)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세계를 연결하기 위한 여러 기술을 소개하고, 참여작가 5명(고아라, 김은설, 이동엽, 임대륜, 정아사란)이 각자 구상한 물리적 형태의 인터페이스를함께구현하고자했다. 조명으로표정을드러내는마스크, 무용수의움직임에빛으로반응하는발레슈즈, 모터가달린이동장치를제어하는장갑등구상에서제작까지신체성과연결에관한고민들이담겨있다. 서로다른두시스템을잇는개념으로써인터페이스를구축하는과정은, 창작과만들기라는즐거운접점을발견하는시간이기도하다. 여성기술랩은《사실, 망자는죽지않았다》전의일환으로문화체육관광부가후원하고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주최및주관, 이:음예술창작아카데미가운영한 <신체와감각을잇는피지컬인터페이스디자인> 워크숍을기록하는영상을제작했다. 이후이를《사실, 망자는죽지않았다》연계프로그램을통해소개했다.